【뉴스라이트 = 이세현 기자】 인천시민들이 원하는 사회보장정책 방향을 찾는다.
인천시사회서비스원은 이달 인천시민 6,000명을 대상으로 하는 10개 군·구 지역사회보장조사를 시작한다고 20일 밝혔다.
내년 6기(2027~2030) 시, 군·구 지역사회보장계획 수립에 앞서 진행하는 것으로 ‘사회보장급여의 이용·제공 및 수급권자 발굴에 관한 법률’에 따른 법정 조사다. 인천시 사회보장정책 방향을 설정하는 기초 자료로 활용한다.
조사는 한국갤럽이 맡으며 기간은 8월23일~10월20일이다. 조사 규모는 군·구별 600가구씩 모두 6,000가구이다. 조사는 일반가구와 특수욕구계층으로 나눠 진행한다. 각각 300가구다. 일반가구는 통계청 자료를 활용해 불특정 다수를 선정한다.
특수욕구계층은 장애인, 노인, 아동, 저소득, 다문화, 1인 가구, 등이며 군·구에서 제공한 가구주 이름과 연락처, 주소 등을 활용한다.
관련 자료는 ‘개인정보 보호법’에 따라 관리·폐기한다. 법은 공공기관이 법령 등에서 정하는 업무를 수행할 때 수집, 이용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조사는 대면으로 한다. 일반가정은 집계구 방식을 활용해 전문 조사원이 직접 방문한다. 특수욕구계층은 조사원이 사전에 전화를 걸어 설문 내용을 간단하게 설명하고 방문 가능 여부와 일정을 확인한다. 설문은 테블릿PC로 하며 걸리는 시간은 10~20분이다. 조사원은 예비 인력을 포함해 모두 185명이다.
설문은 모두 27가지 문항이다. 가구 일반현황과 17세 이하 아동 가구, 65세 이상 노인가구, 장애인 가구의 돌봄 현황 등을 묻는다. 지역적 특성도 반영한다. 예를 들어 옹진군 주민에겐 거주 계기, 육지방문 정도, 도서 지역 주민에게 필요한 자원과 서비스 등 질문을 추가한다. 내년에 2군 8구에서 2군 9구로 행정 개편하는 내용도 담는다.
설문용 테블릿PC에는 다양한 기능을 넣어 특수욕구계층 조사를 돕는다. 청각장애인에겐 수어 설명 영상을, 발달장애인은 쉬운 설문을 활용한다. 중국어, 베트남어, 영어로 번역도 가능하다. 이중언어를 하는 조사원 6명을 별도 선발한다.
조사 결과는 오는 12월 최종 보고에서 확인할 수 있다.
연구를 맡은 이선정 인천시사회서비스원 정책연구실 연구위원은 “지역사회보장계획은 지역 주민의 욕구를 파악하는 것이 목적이기 때문에 무엇보다 특수욕구계층의 실태를 파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며 “번거롭더라도 꼭 참여해 주기를 바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