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경기도교육청-경기도교육연구원, 경기미래교육의 지속가능성과 발전 방안 모색

28일, ‘경기미래교육 온라인 국제포럼’ 개최

 

【뉴스라이트 = 한경준 기자】 경기도교육청과 (재)경기도교육연구원이 경기미래교육의 지속가능성과 발전적 확장 방안을 모색하고자 ‘2025 경기미래교육 온라인 국제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포럼은 ‘경기미래교육의 지속과 확장을 위한 글로벌 탐색’을 주제로 캐나다, 에스토니아, 독일 미래교육정책 전문가 3인의 발표와 참여자 간 토론으로 진행했다. 포럼 사전 신청 4일 만에 500여 명이 참여를 희망하는 등 도내 교직원의 뜨거운 관심 속에 이뤄졌다.

 

먼저 전문가 발표에 나선 캐나다 구오팡 리(Guofang Li) U.B.C. 교수는 캐나다 브리티시 컬럼비아주가 구상하고 있는 교육의 미래상과 이를 실현하기 위한 정책을 소개했다. 캐나다의 핵심역량 중심 교육과정 개혁, 인공지능(AI)을 포함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혁신적인 평가 변화, 원주민에 대한 포용성을 강조하는 교육 등을 설명했다.

 

이어 에스토니아 카이 쿠르트(Kai Koort) 교육위원회 위원이 미래교육정책 사례 발표와 토론을 진행했다. 작지만 강한 국가를 위한 에스토니아의 교육혁신 정책을 소개하고, 에스토니아가 디지털 강국이 된 배경과 관련 정책 등 8가지 핵심 중점 교육을 설명했다.

 

끝으로 마르코 리에크만(Marco Rieckmann) 독일 베흐타대 교수가 지속가능발전교육(ESD)을 중심으로 독일의 미래교육정책을 소개하고 토론을 이어갔다. 독일이 지속가능발전교육(ESD)을 강조하게 된 역사적 배경과 지속가능발전교육(ESD) 정책 및 실행 전략, 글로벌 학습과의 관계 등을 설명했다.

 

이어진 종합토론에서는‘더 나은 경기미래교육을 위한 국제적 통찰’을 주제로 다양한 논의가 이어졌다.

 

참석한 국내외 전문가들은 각국의 사례를 바탕으로 경기미래교육의 실행력 제고를 위해 정책과 교실을 잇는 지속적인 지원과 소통이 필요함을 강조했다. 또한 공평한 교육기회 보장, 교사의 자율성과 지속적인 전문성 개발, 디지털 역량 강화의 중요성을 역설하고, 지속가능발전교육(ESD)의 체계적 추진을 위해 정책의 정당성과 실행력을 동시에 확보하는 거버넌스 구축 전략이 필요함을 주장했다.

 

도교육청 서혜정 정책기획관은 “이번 포럼을 통해 이끌어 낸 국제적인 시사점을 바탕으로 경기미래교육의 지속과 확장을 위한 방안을 모색할 것”이라면서 “경기교육이 미래교육의 중심으로 나아가기 위한 노력을 지속적으로 펼치겠다”고 말했다.

 

경기도교육연구원 김진숙 원장은 “미래 교육정책은 미래 세대가 더 나은 삶을 살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면서 “이번 포럼에서 연구와 정책이 결합될 때 미래 교육정책의 실효성이 배가될 수 있음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경기소식

더보기

검색어 NOW

더보기

중년·신중년뉴스

경기역사문화유산원, 반려견과 함께한 친환경 도보 프로그램, ‘경기옛길 더하기, 환경 투개더’ 2회차 진행
【뉴스라이트 = 조용은 기자】 경기문화재단 경기역사문화유산원이 주최한 시민참여형 환경정화 프로그램 ‘2025 경기옛길 더하기, 환경 투개더’ 2회차 행사가 지난 11월 2일, 오산시에서 열렸다. 이번 행사는 삼남길 제8길 오산생태하천길 일원에서 오후 2시부터 약 1시간 30분간 진행됐다. 참가자들은 오산시 반려동물 테마파크에 모여 반려견 동반 탐방 시 유의사항과 경기옛길에 대한 소개를 들은 뒤, 반려동물 매너 캠페인과 유기견 입양 홍보 시간을 함께 가졌다. 이후 오산천을 따라 조성된 산책로를 걸으며 쓰레기를 줍는 플로깅 활동을 진행했고, 맑음터 공원에서 단체사진 촬영과 함께 행사를 마무리했다. 이번 프로그램에는 반려인뿐 아니라 비반려인도 함께 참여해 서로의 문화를 이해하며 환경보호의 의미를 공유하는 자리가 됐다. 특히 오산시 반려동물 테마파크와의 연계를 통해 지역 내 유기동물 보호 인식 제고의 기회를 마련했다. 참가자들은 도심 속에서도 반려동물과 함께 건강한 산책 문화를 실천할 수 있었고, 경기옛길의 역사와 자연을 동시에 체험할 수 있는 좋은 시간이었다”고 소감을 전했다. 한편, 경기옛길은 조선시대 한양과 지방

포토갤러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