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경기도의회 김동영 의원, “남양주 왕숙 신도시, 보행 친화적인 도시 되어야” ... 연구용역 점검

김 의원, “왕숙 신도시 점포겸용주택 지하주차장 확충으로 접근성, 편리성 향상 도모”

 

【뉴스라이트 = 조용숙 기자】 경기도의회 건설교통위원회 김동영 의원(더불어민주당, 남양주 오남)은 27일 경기도 도시주택실 도시재생추진단과 신도시 점포겸용주택의 신모델 구상 및 지하주차장의 설치 논의를 위한 자리를 가졌다.

 

먼저 최종문 신도시조성1팀장은 이번 5월 말 발주를 앞두고 있는 ‘점포겸용주택 신모델 구상 용역’의 기본방향과 용역의 주요 내용에 대해 보고했다. ‘점포겸용주택 신모델 구상 용역’은 고양 창릉 지구와 남양주 왕숙 지구를 대상으로 지하주차장 설치 및 건축물 특화 방안을 검토하게 된다.

 

김 의원은 “남양주 왕숙 신도시 내 점포겸용주택 단지의 상권 활성화와 접근성 향상, 지속가능성을 위해서는 주택 단지의 콘셉트가 명확하고 일관되어 ‘이야기가 있는 공간’이 조성되어야 하고, 보행자는 이곳저곳 걸어다닐 수 있어야 한다”면서 “점포겸용주택 단지 내 대형 지하주차장을 설치하고 인도의 폭을 넓히는 등 보행자들의 편리성과 접근성을 향상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우리나라 1·2기 신도시는 차량 중심으로 설계됐고, 상가 주차장·도보와 같은 편의 시설과 기반시설이 입주민들 위주로 설계되어 상가 이용객의 접근성과 편의성이 떨어져 많은 지역상권이 황폐화됐다”며 “도보로 이동하며 상가를 이용하는 유동인구가 많아져야 지역상권이 활성화 될 것”이라고 말했다.

 

덧붙여 그는 “활기가 있고 건강한 도시, 살기 좋은 도시의 조건은 보행 친화적인 기반시설과 특색있는 경관이다. 프랑스, 스페인 등 유럽의 많은 도시들은 보행 친화 도시 정책을 적극적으로 도입해 기후위기, 도로 상태, 보행 안전 등의 문제를 해결하고 인간 중심의 도시계획을 추진하고 있다”라며 유럽의 보행 친화적 도시 모델의 장점을 설명했다.

 

마지막으로 “이번 연구용역에서 우리나라 기존 신도시의 단점을 보완하고 유럽의 보행 친화적 도시 모델을 적극 검토해 인간 중심적인 점포겸용주택 단지의 신모델을 도출하길 바란다”라고 집행부에 요청했다.



경기소식

더보기

검색어 NOW

더보기

중년·신중년뉴스

‘제2회 재인청축제’, 시민의 열기 속에 성황리 마무리
【뉴스라이트 = 조용은 기자】 오산의 문화적 뿌리이자 전통예술의 원형인 ‘재인청(才人廳)’의 정신을 시민의 힘으로 되살린 ‘오산, 제2회 재인청축제’가 26일 오산 고인돌공원에서 성황리에 열렸다. 경기재인청보존회가 주최·주관하고 경기도와 경기문화재단이 후원한 이번 축제는 오전부터 시민들의 발길이 이어지며 활기를 띠었다. 한때 비로 중단 위기를 겪었지만 공연 시작과 함께 날씨가 개면서 4~500명의 시민이 다시 모여 축제의 열기를 더했다. 1부 무대에는 장구 공연 ‘호, 따닥쿵덕’, 사물놀이팀 ‘딴따라즈’, 통기타팀 ‘유니언’, 힙합 ‘스트릿키드’, 민요 ‘서미지’, 비보이 ‘THE D.U.O’, 창극단 ‘재담소리 예술단’, 태권도 시범단 ‘무진 태권도’ 등이 출연해 지역 예술의 활력을 보여줬다. 2부에서는 오산국악협회 취타대의 행진을 시작으로, 국립창극단 명창 최호성, 윤미라무용단, 가수 강태관, 연희집단 The 광대, 퇴계원산대놀이보존회, 안성시립남사당바우덕이풍물단 등이 무대에 올라 전국 수준의 전통공연예술을 선보였다. 부대행사로는 캘리그라피, 시화전, 전통놀이, 팔찌·장구 만들기, 타로체험 등 시민 참여형 프로그램이 큰 호응을 얻었다. 가람국악예술원의 주

포토갤러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