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돌봄 공백 없는 도시, 광명시가 앞장선다…의료·요양·돌봄 잇는 통합지원사업 본격 추진

10월 ‘돌봄 통합지원 시범사업’ 본격 시행 앞두고 준비 점검·현장 의견 청취

 

【뉴스라이트 = 이양지 기자】 광명시가 의료·요양·돌봄을 아우르는 통합지원 모델 구축에 속도를 내고 있다.

 

시는 지난 9월 30일 시청 컨퍼런스룸에서 보건복지부 인구정책실장, 정책보좌관, 의료‧요양‧돌봄통합지원단 관계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광명시 돌봄 통합지원 및 지역사회중심재활사업(CBR)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번 간담회에서는 사업 준비 상황을 점검하고, 돌봄 통합지원과 재활사업 간 연계 강화, 돌봄 공백 해소 방안 등을 중점적으로 논의했다.

 

광명시는 지난 6월 보건복지부 ‘돌봄 통합지원 시범사업’ 기술지원형 지역으로 선정된 데 이어, 9월 22일 ‘광명형 돌봄통합지원사업’ 출범식을 개최했다. 오는 10월부터는 본격적인 사업 추진에 들어간다.

 

시는 재택의료센터가 없는 상황에서 ▲공공방문의료지원 ▲권역별 지정의료기관을 활용한 병원 동행 지원 체계를 운영하며 도시형 통합지원 모델을 구축하고 있다.

 

또한 관내 5개 병원과 협력해 퇴원환자 연계 시스템을 마련, 의료‧요양‧돌봄이 끊기지 않는 전달체계 확립에 주력하고 있다.

 

‘돌봄 통합지원’은 일상생활에 어려움이 있는 시민이 거주지에서 의료, 요양, 주거 등 다양한 서비스를 통합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도록 지자체가 지원하는 제도다. 오는 2026년 3월 ‘돌봄통합지원법’ 시행과 함께 전국으로 확대될 예정이다.

 

‘지역사회중심재활사업(CBR)’은 법적 등록 장애인과 예비장애인의 건강 회복과 자가 건강관리 능력 향상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보건소를 중심으로 재활 서비스를 제공하고 지역 내 보건의료와 복지를 연계해 통합지원과의 연계가 중요한 과제로 꼽힌다.

 

정순욱 광명시 부시장은 “광명시는 시민 누구나 필요할 때 돌봄을 제공받을 수 있는 통합지원 체계를 마련하기 위해 지역 의료기관과 긴밀히 협력하고 있다”며 “이번 간담회를 계기로 지역 돌봄통합의 모범 모델을 정착시켜 2026년 ‘돌봄통합지원법’ 시행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겠다”고 말했다.



경기소식

더보기


중년·신중년뉴스

한국도자재단, '2025 경기도 공예주간' 개막…경기도 전역 공예 축제로 물든다
【뉴스라이트 = 조용은 기자】 경기도와 한국도자재단이 10월 1일부터 11월 2일까지 한 달간 ‘2025 경기도 공예주간’을 개최한다. 이번 행사는 지역별로 편중된 공예 활동을 해소하고 경기도 전역으로 균형 있게 공예문화를 확산하기 위해 마련됐다. 전시, 체험, 교육, 학술, 네트워킹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경기도가 K-공예의 거점으로 자리매김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올해 공예주간은 ▲경기공예연대프로그램 ‘손끝연대’ ▲경기공예페스타(수원·여주) ▲제2회 크래프트 라운드테이블 ▲경기공예협업프로그램 등 네 가지 주요 프로그램으로 구성된다. 개막 프로그램인 ‘손끝연대’는 도내 공예인들이 지역과 장르를 넘어 하나의 네트워크로 모이는 프로그램이다. 총 22개 시군 175명의 공예인이 참여해 개별 공방에서 전시·체험·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도민이 일상에서 공예를 경험할 수 있도록 다양한 홍보 활동도 병행한다. 특히 흩어져 활동하던 공예인들을 연결해 공동의 비전을 공유하고, 장기적으로 경기도 전체 공예 생태계 강화를 모색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손끝연대’와 연계한 스탬프 투어 이벤트도 진행된다. 10월 15일부터 11월 2일까지 참여 공방 3곳을 방문해 스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