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경기 '배달특급' - 충북·서울 '먹깨비', 배달앱 시장 독과점 해소 위해 공동대응

낮은 수수료·지역화폐 연계, 소상공인-소비자 상생이라는 철학과 가치에 공감해 ‘맞손’

 

 

 

【뉴스라이트 = 조용은 기자】 경기도 공공배달앱 ‘배달특급’이 서울과 충북의 공공배달앱 ‘먹깨비’와 손을 잡고 배딜앱 시장 독과점 해결을 위한 전국적 연대에 기틀을 잡았다.

 

경기도주식회사는 25일 충청북도와 서울시에서 민간 주도형 공공배달앱 서비스를 펼치고 있는 ㈜먹깨비와 이 같은 내용의 ‘배달앱 상생 발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2017년 설립된 ㈜먹깨비는 서울시 제로배달유니온과 충청북도에서 배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회사로, 지난 9월 충청북도에서 공공배달앱을 출시한 후 가맹점 5,200곳을 확보하며 성공적인 안착을 보였다.

 

특히 충북지역 내 각 지자체 지역화폐와의 연계를 진행하고, 할인 폭이 커 주말 평균 2,500건의 주문 건수를 기록하고 있다.

 

경기도주식회사는 ‘먹깨비’와 ‘배달특급’이 저렴한 수수료와 지역화폐 연계를 통해 소상공인과 소비자 모두를 위하고 있다는 점에서 공통적인 가치와 철학을 공유한다고 판단, 이번 업무협약을 추진하게 됐다.

 

양측은 이번 협약을 통해 현재 경기도주식회사가 추진하는 ‘공공배달앱 전국적 범 협의체’의 구성과 운영에 상호 협력하고, 소상공인 및 소비자들의 권익 향상을 위해 노력을 아끼지 않기로 약속했다.

 

이를 바탕으로 공공배달앱의 상생 발전을 도모하고, 배달앱 시장의 독과점 체제를 공정한 질서로 전환하기 위한 전국 공공배달앱 사업자들과의 연대와 공동 대응에 속도를 낸다는 계획이다.

 

 

 

 

앞서 경기도주식회사는 지난 11일 경기도와 인천, 부산 동구의 지역화폐 주관사인 코나아이와 ‘공공배달앱 상생 발전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으며 공공배달앱 상생 발전을 위한 범 협의체 구성의 신호탄을 쏘아 올린 바 있다.

 

이석훈 경기도주식회사 대표이사는 “단일 공공배달앱 혼자는 독과점 체제에 대응하기 힘들기 때문에 전국 공공배달앱이 모두 함께 하는 협의체를 준비하고 있다”며 “모두가 연대해 공동 대응하며 서로 발전하는 방향을 논의하는 등 다양한 실질적 협력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김주형 ㈜먹깨비 대표 역시 “전국 소상공인들이 모두 힘든 시기인 만큼 두 기관이 협력해 공동 마케팅 등을 진행해 힘을 보태겠다”며 “각기 다른 공공배달앱을 연계해 어디서든 이용할 수 있게 연동하는 방법 등도 구상하면 좋겠다”고 말했다.

 

한편, 12월 1일 화성·오산·파주 시범지역에서 서비스를 시작할 ‘배달특급’은 현재 출시 알림 사전 신청 이벤트 등을 진행 중이다. 경기도주식회사 ‘배달특급’ 이벤트 홈페이지에서 참여 가능하다.

 

프로필 사진
조용은 기자

뉴스라이트 대표 기자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경기소식

더보기

검색어 NOW

더보기

중년·신중년뉴스

평택시, 치매 환자 실종 예방사업 연중 실시
【뉴스라이트 = 박현서 기자】 평택시는 치매 환자의 실종을 예방하고 실종 시 신속하게 가정에 복귀할 수 있도록 실종 예방사업을 연중 실시하고 있다. 실종 예방사업으로 △배회가능 어르신 인식표 보급 △배회감지기(행복GPS) 제공 △지문 사전등록 서비스 △치매 체크 배회감지 서비스가 있으며 대상자의 자격 요건에 따라 지원이 가능하다. 인식표는 대상자에게 고유번호를 부여해 의류에 부착하는 표식으로, 실종 후 발견 시 경찰청에서 고유번호를 조회하면 실종자와 보호자의 정보를 빠르게 확인할 수 있다. 지문 사전등록 서비스는 치매 환자의 지문과 사진 및 보호자 연락처 등 신상 정보를 경찰청 시스템에 사전 등록하는 제도이다. 배회감지기(행복GPS)는 손목시계 형태로 치매 환자와 인지 저하자에게 무상 보급되며 보호자의 스마트폰과 연동해 대상자의 실시간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설정한 구역을 벗어나면 보호자에게 긴급 알람이 울리는 ‘안심존’ 기능을 갖추고 있다. 평택보건소 관계자는 “치매 환자와 가족의 불안을 덜고, 안전한 지역사회 조성을 위해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며 “실종 예방 서비스에 대한 치매 환자 및 가족의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를 당부 드린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