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충격! 서예지, 김정현 뿐 아니라 유노윤호까지 '가스라이팅' 논란

 

 

 

【뉴스라이트 = 한경준 기자】 서예지(31)의 '김정현 조종설' 논란이 뜨거운 가운데 그와 관련된 증언과 의혹이 쏟아지면서 연예계를 뒤흔들고 있다.

 

시작은 지난 12일 디스패치의 "서예지가 조종했다"··· 김정현, 거짓된 '시간'이란 보도에서 비롯됐다. 

 

배우 김정현(31)과 서예지는 2017년 영화 '기억을 만나다'로 만나 연인 사이로 발전했으며, '시간' 촬영 당시 교제중이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3년 전 무명배우 김정현은 MBC드라마 ‘시간’의 첫 주연으로 발탁돼 관심을 끌었으나 이유없이 중도 하차하여 대중들의 비난을 샀고, 이후로도 약 11개월 간 활동을 중지했다. 그 후 김정현은'사랑의 불시착'에 열연함으로써 다시 인기에 불이 붙었다.

 

당시 김정현의 드라마 ‘시간’ 하차 이유는 공식적으로는 캐릭터 과몰입으로 인한 섭식장애와 수면장애였지만, 실제로는 서예지와의 교제로 인한 사생활 문제가 원인이었다는 것이다.

김정현은 당시 ‘시간’ 제작발표회에서 상대역인 서현에 대한 무례한 태도와 무성의한 답변으로 논란이 된 바 있는데, 이 모든 것이 서예지의 조종 때문이었다는 것이다.

 

보도에 따르면 당시 서예지는 김정현이 상대역인 '소녀시대' 출신 배우 서현은 물론 조감독 등 여성 스태프 모두에게 딱딱하게 굴라고 지시했다.

김정현은 '너만 만질 수 있어. 내 손은' '그럼요. 김딱딱' '여자들이랑 눈도 안 마주쳤어요.' '장 감독한테 다시 한 번 로맨스 안 된다고 못 박았다'며 서예지의 요구에 충실히 따랐다.

 

서예지가 김정현에게 ‘행동 딱딱하게 하라’ ‘스킨십 노노’ 등의 지시를 내린 카카오톡 대화 내용이 공개됐고, 이른바 서예지의 ‘가스라이팅’ 논란으로 옮겨붙은 것.

 

가스라이팅이란 타인의 심리나 상황을 교묘하게 조작해 상대방이 스스로를 의심하게 만들어 판단력을 잃게 하는 정서적 학대 행위다. 가스라이팅을 당한 사람은 자신의 판단을 믿지 못하게 되면서 가해자를 전면적으로 믿고 따르게 된다.

 

'김정현 조종설'에 이어 서예지를 둘러싼 다른 의혹도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다. 

서예지는 과거 한 인터뷰에서 한국에서 중학교, 고등학교를 졸업한뒤 스페인 대학교에서 신문방송학과를 나왔다고 밝힌 바 있다. 당시 그는 아나운서가 꿈이었으나 잠시 한국에 왔을때 길거리 캐스팅이 돼 연기자가 됐다고 말했다.

그러나 다른 인터뷰에서 서예지는 스페인 유학은 맞지만 대학을 나오지 않았고 아나운서가 꿈인적도 없다고 말했다.

 

 

 

 

그런 반면, 서예지와 과거 열애설이 났던 유노윤호 또한 서예지에게 가스라이팅(조종) 당한 것이 아니냐며, 서예지로 인해 유노윤호까지 소환됐다. 당시 두 사람의 소속사는 "동료 사이일 뿐"이라며 열애설을 부인한 바 있다.

지난 2014년 드라마 ‘야경꾼일지’에 참여한 스태프의 증언에 따르면 “당시 유노윤호가 역대급으로 살이 빠졌고 손에서 휴대폰을 놓지 못했다”며, "긍정의 아이콘으로 사근사근하던 그가 갑자기 180도 달라진 태도로 사극 의상을 입혀주는 과정에서 ‘내 몸에 손을 대지 말라’고 했다"면서 서예지로부터 가스라이팅을 당한 것 같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이와 같은 가스라이팅 논란에 대해 서예지 소속사 골드메달리스트는 "김정현씨 측과 확인 결과, 드라마 관련 논란이 서예지씨로 인해 발생한 것은 아니라는 점을 명확히 확인 받았다"며, "연인 사이인 배우들 간에 흔히 있는 애정 싸움이라고 볼 수 있다"고 해명했다. 

 



경기소식

더보기

검색어 NOW

더보기

중년·신중년뉴스

‘제2회 재인청축제’, 시민의 열기 속에 성황리 마무리
【뉴스라이트 = 조용은 기자】 오산의 문화적 뿌리이자 전통예술의 원형인 ‘재인청(才人廳)’의 정신을 시민의 힘으로 되살린 ‘오산, 제2회 재인청축제’가 26일 오산 고인돌공원에서 성황리에 열렸다. 경기재인청보존회가 주최·주관하고 경기도와 경기문화재단이 후원한 이번 축제는 오전부터 시민들의 발길이 이어지며 활기를 띠었다. 한때 비로 중단 위기를 겪었지만 공연 시작과 함께 날씨가 개면서 4~500명의 시민이 다시 모여 축제의 열기를 더했다. 1부 무대에는 장구 공연 ‘호, 따닥쿵덕’, 사물놀이팀 ‘딴따라즈’, 통기타팀 ‘유니언’, 힙합 ‘스트릿키드’, 민요 ‘서미지’, 비보이 ‘THE D.U.O’, 창극단 ‘재담소리 예술단’, 태권도 시범단 ‘무진 태권도’ 등이 출연해 지역 예술의 활력을 보여줬다. 2부에서는 오산국악협회 취타대의 행진을 시작으로, 국립창극단 명창 최호성, 윤미라무용단, 가수 강태관, 연희집단 The 광대, 퇴계원산대놀이보존회, 안성시립남사당바우덕이풍물단 등이 무대에 올라 전국 수준의 전통공연예술을 선보였다. 부대행사로는 캘리그라피, 시화전, 전통놀이, 팔찌·장구 만들기, 타로체험 등 시민 참여형 프로그램이 큰 호응을 얻었다. 가람국악예술원의 주

포토갤러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