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경기도 기업 절반 이상, 고객사로부터 ESG 또는 RE100 요구받았다”

도내 조사 기업의 73%가 기업의 입지 선정에 RE100 이행환경이 중요하다고 응답
가장 큰 어려움은 재생에너지 비용 및 물량 확보

 

 

 

【뉴스라이트 = 조용은 기자】 경기도 기업의 절반 이상이 고객사로부터 ESG(환경·사회·지배구조를 고려한 기업성과지표) 또는 RE100(기업활동에 필요한 전력의 100%를 재생에너지 전기로 사용)를 요구받는 등 기업활동에서 기후위기 대응이 중요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연구원은 RE100 이행지원을 위한 경기도 역할과 기업의 수요 파악을 위해 올해 1월 19일부터 2월 28일까지 경기도 소재 RE100 관련 기업(기업활동 때 재생에너지를 사용할 수 있는) 44개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내용을 담은 ‘경제와 일자리를 지키는 RE100, 지역에서 해법을 찾자’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4일 밝혔다.

 

연구원은 최근 글로벌 기업들이 공급망 업체에 재생에너지 사용을 요구하고 나서 국내 부품사의 납품 계약이 무산되는 사례가 발생하는 가운데 기업의 RE100 목표 달성을 지원하는 지방자치단체의 선도적 역할을 모색하기 위해 이번 조사를 수행했다고 설명했다.

 

응답 기업 44개 사는 규모별로는 대기업 28개, 중견·중소기업 16개다.

 

보고서에 따르면 응답 기업의 52.3%인 23개가 고객사로부터 ESG 또는 RE100 요구를 받은 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객사의 요구사항으로는 온실가스 배출 관련 데이터 제출(40%), RE100 이행 및 증빙(32%), 제품 온실가스 배출량 관련 전 과정(26%), 기타 2% 등의 순이다.

 

RE100에 대한 준비를 보면 중소·중견기업의 81.3%가 준비 부족(10개)이거나 전혀 준비되지 않았다(3개)고 답했다. 대기업도 64%(18개)가 준비 부족이라고 전했다.

 

기업들은 RE100 이행의 큰 장벽으로 높은 재생에너지 비용(27%), 정부의 컨설팅 및 인센티브 등 지원 부족(15.9%), 재생에너지 부족(13.5%), 각종 규제와 제도·정책의 불확실성(12.7%) 등을 주로 꼽았다.

 

가장 시급한 사항으로 재생에너지 물량 확보(23.5%), 재생에너지 투자 및 구매를 위한 추가 재원 확보(21.2%), RE100 이행 수단에 대한 정보(17.6%) 등을 언급했다.

 

기업들이 가장 선호하는 RE100 이행 수단은 직접 전력구매계약(PPA·재생에너지를 발전사업자로부터 직접 구매, 27.5%), 녹색프리미엄(사용 예상 전력만큼 한국전력 에너지마켓플레이스에서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를 구매하여 사용한 뒤 인증, 26.3%), 자가발전(22.5%) 순이다.

 

조사에 참여한 기업들의 73%(32개)는 공장을 신축하거나 이전할 때 RE100 이행환경이 입지 선정에 중요하다고 응답했다.

 

98%(43개)는 RE100 이행에 있어 지자체의 도움이 필요하며, ‘재생에너지 부지발굴 및 공급’을 가장 중요한 역할로 언급했다.

 

기업의 79.5%(35개)가 RE100을 위한 기업과 지자체 간 협의체 구성 시 참여하겠다는 의사를 표했다.

 

경기도의 재생에너지 전력 생산량(2021년 기준 3천281GWh)은 도내 소재 글로벌 RE100 기업 58개 전력 소비량(2021년 기준 2만 6천623GWh)의 약 12.3% 수준에 불과하다.

 

이들 기업이 2030년 재생에너지 60% 목표를 달성하려면 약 9.3GW 규모의 재생에너지 설비(태양광 기준)가 추가 필요하다.

 

이에 연구원은 RE100 기업의 수요에 초점을 맞춘 RE100 특구 조성, 부지발굴 및 제도개선, 기초지자체와의 협력 강화, 펀드 조성, 주민 이익공유형 사업 등 지역 주도 재생에너지 개발을 통해 재생에너지 조달 비용을 낮추고, RE100 컨트롤타워를 설치해 재생에너지 공급 규모와 속도를 높일 것을 제안했다.

 

고재경 경기연구원 기후환경연구실장은 “RE100은 온실가스 감축이나 재생에너지 발전사업 관점에서 벗어나 기업 경쟁력 확보 및 지역 경제를 지키는 전략으로 틀을 전환해 접근할 필요가 있다”라며 “RE100은 민간 주도의 투자를 기반으로 하지만 부지발굴, 주민 수용성, 인허가, 규제와 같은 재생에너지 공급 제약요인을 해소하고 기업의 목표 달성을 지원하는 지방자치단체의 선도적 역할이 중요하다”라고 말했다.

 

프로필 사진
조용은 기자

뉴스라이트 대표 기자



경기소식

더보기

검색어 NOW

더보기

중년·신중년뉴스

‘2025 여주오곡나루축제’ 10월 31일 개최
【뉴스라이트 = 김정민 기자】 남한강이 황금빛으로 물드는 계절 가을, 여주의 대표 축제인 ‘2025 여주오곡나루축제’가 오는 10월 31일부터 11월 2일까지 3일간 신륵사 관광단지 일원에서 개최된다. 여주오곡나루축제는 경기대표관광축제로서 매년 수십만 명의 발길을 모으며 전통과 현대가 어우러진 가을 축제의 진수를 보여주고 있다. 특히 무대·개막 의전·초대가수가 없는 ‘3무(無) 축제’라는 차별화된 정체성을 지닌다. 시민이 주인공이 되어 함께 만들어가는 축제이기에 지역 공동체의 힘을 느낄 수 있으며 자발적인 참여가 축제를 더욱 특별하게 만든다. 올해 축제는 “여주의 전통과 풍요를 담은 글로벌 축제”를 주제로, 기존 대표 프로그램에 글로벌 교류와 디지털 혁신을 더해 한층 풍성하게 업그레이드된다. ■ 세계와 연결되는 여주, 글로벌 & 스마트 문화관광축제로 도약 올해 축제는 지역을 넘어 세계와 소통하는 글로벌 문화관광축제로의 도약에 중점을 두고 있다. 경기관광공사와의 협력을 통해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등 동남아 관광객 대상 여주 관광상품이 개발되어 외국인 방문객 유치를 추진한다. 아울러 싱가포르 공영방송 Mediacorp이 여주오곡나루축제를 배경

포토갤러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