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인천시사회서비스원 인천시 장애인 지역사회 통합지원모델 개발 연구 중간보고

장애인지역사회자립법 따라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전달체계 마련

 

【뉴스라이트 = 이세현 기자】 인천시사회서비스원은 최근 인천시장애인주거전환지원센터를 중심으로 장애인 지역사회 자립 지원 체계 구축을 내용으로 하는‘인천시 장애인 지역사회 통합지원모델 개발 연구’ 중간 보고를 가졌다고 1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지역사회 자립 지원을 전담하는 인천시장애인주거전환지원센터를 중심으로 모델을 제안한다.

 

올해 초 제정한 ‘장애인 지역사회 자립 및 주거전환 지원에 관한 법률’에 발맞춰 진행하는 것으로,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자립 지원 정책 전달체계를 만드는 데 초점을 맞춘다. 연구 기간은 3~12월이다.

 

연구 중간 보고는 먼저 전문가 간담회를 거쳐 센터 운영 현황을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인천시 장애인 지역사회통합 지원 모델의 방향을 제시했다.

 

세부적으로 △주거+네트워크를 핵심으로 운영 방안 설정 △인천 특화 모델 발굴 △복지관과 거주시설, 장애인자립생활센터(IL) 등 민간과 협업을 기반으로 한 주거 중심 상담 창구 일원화 △사후관리 지원 체계 구축 △센터 역할과 기능 구체화 등을 들었다.

 

이어 복지부 장애인 지역사회 자립지원 시범사업 주요 내용과 현재 인천시 장애인 복지 주요 사업, 새 정부 국정과제 중 ‘장애인 삶의 질 향상과 기본적 권리보장’을 설명했다.

 

여기에 다른 연구에서 제시한 돌봄통합 지원 모델과 경기도장애인복지종합지원센터의 장애인 주거지원 가드이북을 참고 사례로 넣었다.

 

인천시장애인주거전환지원센터는 보건복지부 장애인 지역사회 자립 지원 시범사업을 맡아 운영하는 기관이다.

 

지난 2021년 문을 열었다.

 

시범사업은 전국 10개 지역에서 추진하나 인천과 부산 두 곳만 전담 기관을 뒀다. 인천시사회서비스원이 수탁 운영한다.

 

연구는 10~11월 장애인 당사자와 가족, 센터 관계자 등을 인터뷰하고 전문가 자문을 거쳐 오는 12월 최종 보고를 한다.

 

연구를 맡은 이웅 정책연구실 연구위원은 “장애인 지역사회 자립 논의는 오래전부터 있었으나 국가적 차원에서 전국단위의 자립지원 정책을 본격화한 것은 지난 2022년 시범사업부터라 할 수 있다”며 “시대 흐름이 지역사회 자립으로 이미 변화했고 그만큼 현장에서 중앙정부가 주도하는 장애인 자립 지원 정책에 관심이 높다.

 

인천시가 가진 장점을 최대한 활용해 체계적인 모델을 만들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경기소식

더보기


중년·신중년뉴스

산림청, 올 추석 산림휴양·복지시설에서 가족과 함께하는 숲나들이
【뉴스라이트 = 윤채이 기자】 산림청은 추석 연휴를 맞아 국민들이 가족과 함께 숲속에서 즐겁고 의미 있는 시간을 보낼 수 있도록 전국의 자연휴양림, 수목원, 치유의숲, 목재문화체험장 등 152개 산림휴양·복지시설에서 다양한 숲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한다고 1일 밝혔다. 먼저 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는 전국 휴양림에서 숲해설과 숲치유, 민속놀이 마당 등을 제공한다. 특히 국립청태산자연휴양림에서는 잣송이, 제기차기 전통 찰떡 만들기를 국립속리산자연휴양림에서는 ‘왕의 귀환’ 테마 체험을 통해 명절 분위기를 한층 더한다. 국립세종수목원에서는 사계절 전시온실 특별전과 윷놀이·굴렁쇠 같은 전통문화 체험을 마련했으며, 국립백두대간수목원에서는 추석맞이 전통놀이 체험존, 스탬프투어, 테라리움 만들기 등 가족 단위 체험 프로그램이 운영된다. 국립산림치유원은 가족 대상 치유 프로그램, 특별 영상 상영을 준비했으며, 국립숲체원에서는 숲속 힐링 마사지, 숲이야기 해설, 숲속 그림 그리기 등 세대별 맞춤형 프로그램을 운영해 휴식과 문화를 동시에 즐길 수 있다. 전국 목재문화체험장에서는 목재 자동차, 나무피리, 연필꽂이 등 친환경 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