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제5회 이천시 백사 가을한마당 축제, 성황리에 개최

 

【뉴스라이트 = 김정민 기자】 이천시 백사면 주민자치회는 지난 10월 25일 9시부터 오후 4시까지 백사면 도립1리 산수유 사랑채 광장에서 ‘자연과 함께 행복 심는 마을 백사’라는 주제로 제5회 백사 가을한마당 축제를 개최했다.

 

식전 공연으로 백사 평생학습 우수프로그램 바이올린 수강생들의 선율이 가을하늘과 어우러져 백사 가을한마당 축제를 찾은 시민들에게 감동과 함께 가을의 정취를 느낄 수 있는 시간을 선사했다.

 

행사는 이호규 백사면 주민자치회장의 개막 선언으로 막을 올렸다. 이어 서범석 부회장이 내빈을 소개하며 참석한 주민과 내빈들에게 감사의 인사를 전했다. 이후 김경희 이천시장과 박명서 이천시의회 의장, 김일중 도의원이 차례로 축사를 전하며 지역의 화합과 발전을 기원했다.

 

개막식에 이어 1부 무대 행사는 초청공연으로 ▲파워풀한 청소년 비보이댄스 ▲서울시 문화유산 풀피리 전수자 김충근 선생의 풀피리 연주 ▲다문화 베트남 어린이들의 합창과 함께 특색있는 공연 등이 관람객들로부터 많은 박수를 받았다.

 

또한, 백사 평생학습 동아리로 활동하는 ▲하모샾의 하모니카 연주 ▲팝송교실 ▲마마댄스 ▲퓨전난타 공연과 ▲지역 민요 가수로 활동하는 서영자 씨의 민요 공연으로 축제장을 찾은 관람객들에게 다양한 문화 공연을 제공했다.

 

오후 2부 공연무대는 이천시문화재단과 연계하여 찾아가는 문화공연 ‘우리동네 예술여행’ ▲칸타레 앙상블 ▲피아체볼레 ▲꿈꾸는 오카맘 ▲요들린 여인영 공연으로 다양한 공연 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풍성한 무대를 선보여 축제장을 찾은 관람객들에게 큰 호응을 얻었다.

 

백사가을한마당 체험프로그램으로 ▲산수유 마을(전래놀이, 숲체험) ▲역사문화연구회(백사문화재투어) ▲그림책 심는 마을(그림책 전시, 캐릭터 압화 체험) ▲다문화 이야기 (반미샌드위치 만들기, 바나나떡, 베트남 전통과자 시식) ▲평생학습 꽃차동아리 ▲평생학습 반질 재봉동아리 ▲이천양정 첼린저스 동아리 ▲백우리 마을문우회 시집 전시 등 다양한 볼거리와 함께 체험 프로그램을 선보였으며, 특히 어린이와 부모가 함께 참여하는 프로그램이 많아서 주민들로부터 만족도가 아주 높았다는 평가를 받았다.

 

이호규 백사면 주민자치회장은 “올해로 5회째 개최하는 백사 가을한마당 행사장을 찾아주신 내빈과 주민들에게 감사의 인사와 함께 축제장을 찾은 주민들이 체험도 많이 하고 문화 공연도 즐기면서 좋은 추억을 만들어 가시기를 바라며, 백사 지역 발전과 주민자치회 발전을 위해 앞으로 힘을 보태겠다”라고 말했다.

 

이천수 백사면장은 “백사 가을한마당 축제 성공개최를 위해 수고하신 이호규 주민자치회 회장과 위원들 그리고 체험 프로그램 운영과 무대 공연 동아리, 가을한마당 행사에 협조해 주신 도립1리 이장과 마을 주민들께 감사드린다”라고 말했다.



경기소식

더보기

검색어 NOW

더보기

중년·신중년뉴스

‘첫 회부터 대박!’ 제1회 김포시 반려문화축제 '함께라서 댕댕하개 in 김포' 성공적 개최
【뉴스라이트 = 이세현 기자】 김포시는 지난 10월 25일 사우문화체육광장에서 열린 제1회 김포시 반려문화축제 '함께라서 댕댕하개 in 김포'가 시민들의 폭발적인 관심 속에 성황리에 마무리됐다고 밝혔다. 이번 축제는 사람과 반려동물이 함께 어우러지는 건강한 반려문화를 확산하고 생명존중의 가치를 시민과 공유하기 위해 처음으로 마련된 행사로 많은 시민과 반려가족이 몰려 ‘첫 회부터 대박’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행사장에서는 ▲설채현 수의사와 함께하는 토크콘서트 ▲행동교정·건강상담 ▲스포츠 체험 ▲반려동물 패션쇼 ▲체험부스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이 진행돼 참가자들의 큰 호응을 얻었고 특히 반려동물과의 소중한 순간을 담은 영상을 상영한 미니 상영관은 많은 시민들의 발길이 이어지면서 생명존중과 반려의 의미를 되새기는 뜻깊은 공간으로 인기를 끌었다. 축제에 참여한 한 시민은 “첫번째 축제라고 믿기지 않을 만큼 알차고 풍성했다.”고 소감을 밝혔고 또 다른 시민은 “아이들과 반려동물이 함께 즐길 수 있어 정말 즐거웠다”고 전했다. 김병수 김포시장은 “시민과 반려동물이 함께 웃을 수 있는 건강한 반려문화가 정착될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