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라이트 = 이세현 기자】 인천여성가족재단은 10월 29일 재단 소강당에서 '2025 양성평등 의제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토론회는 ‘인천광역시 성평등 정책의 현주소와 나아가야 할 길’을 주제로 인천광역시여성단체협의회와 인천여성연대가 공동으로 주최했으며, 지역사회 성평등 정책 환경을 종합적으로 점검하고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정책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박영월 인천광역시여성단체협의회 회장과 김성미경 인천여성연대 대표는 축사를 통해 성평등은 사회 운영의 기본 원리이며 공공정책을 통해 실질적으로 구현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기조발제에서 마경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성평등 정책의 제도적 확장 과정과 최근의 젠더 갈등 양상을 분석하며, 성평등을 ‘제로섬 게임’으로 인식하는 사회적 오해를 극복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또한 지방정부가 국가 성평등 정책을 현장에서 실천하는 핵심 주체로서 역할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진 주제발표에서 김미선 인천여성가족재단 연구위원은 '제2차 인천광역시 양성평등정책 종합계획(2023~2027)'의 이행 점검 결과를 발표했다.
김 연구위원은 총 116개 세부과제 중 약 70%가 인천시 여성가족국에서 주관하고 있다며, 향후 관계 부서와의 협업 기반을 강화하여 보다 통합적인 정책 추진 체계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또한 중앙정부와의 정책 연계성을 강화하고 성평등 추진 조직을 확대하며 관련 조례의 실효성을 확보하고 시민 참여 기반의 거버넌스 구조를 확립하는 것이 향후 정책 개선을 위한 주요 과제라고 제시했다.
지정토론은 김영선 성공회대학교 교수가 좌장을 맡아 진행했다.
장성숙 인천광역시의회 문화복지위원회 부위원장은 성평등 정책이 저출생과 돌봄 위기 대응을 위한 도시 전략의 핵심 요소라고 언급하며, 학교·가정·지역사회 전반의 성평등 교육과 공공부문의 성인지 행정 역량 강화 필요성을 강조했다.
손보경 인천여성회 회장은 시민사회와 지방정부 간 협력 기반이 더욱 강화되어야 한다고 지적하며, 양성평등위원회의 기능 재정비와 조례 개정을 통한 정책 실행력 제고 필요성을 제안했다.
이번 토론회 참석자들은 변화된 성평등가족부 체제에 대응하여 인천광역시가 지역 특성을 반영한 성평등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해야 한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또한 행정과 시민사회 간 협력적 거버넌스 기반을 강화하여, 시민이 실질적으로 체감할 수 있는 성평등 도시를 구현해야 한다는 점에서 공감대를 형성했다.
인천여성가족재단은 향후에도 지역사회와의 연계를 확대하며 성평등 정책 발전을 위한 연구와 공론화 활동을 지속해 나갈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