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신동헌 광주시장, "도시관리계획은 마치 사과나무 그리기"

태전지구·고산지구의 제일 큰 문제는 교통
광역교통망, 뚝방길하이웨이, 자전거길, 터널, 철도노선 확보 등에 집중해야

 

 

 

【뉴스라이트 = 조용은 기자】 "맛있어 보일 사과 한 톨 한 톨에 열중하다보면 줄기 그리기가 소홀해 질 수 있습니다. 그래서 우리 광주의 광역교통망, 뚝방길하이웨이, 자전거길, 터널, 철도노선 확보 등에 더 집중할 수 밖에 없습니다."

 

신동헌 광주시장은 19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고산 지구단위 발전지도를 보다가 문득 어릴적 미술시간의 사과나무 그리기가 생각났다"며, "그간은 사과만 먼저 열심히 그러다보니 줄기나 이파리 그리기는 아무래도 소홀했던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고 운을 뗐다. 

 

신동헌 시장은 "요즘도 공동주택과 물류단지 허가 제안은 수시로 광주시에 들어오는데 그럴 때마다 한번 더 생각할 수 밖에 없다"며, "주변 상황과 교통문제, 학교 등을 꼼꼼히 살펴보고 지역사회 기여도가 얼마인지를 따져본다"고 설명했다.

 

이어 "태전지구는 벌써 7개의 사과 덩어리(지구단위)를 그려냈고 지금은 고산1지구(포스코건설), 고산2지구로 사과 그리기가 옮겨 붙은 상태"라며, "그러다보니 이곳은 늘 교통문제, 도로문제, 생활인프라 문제에 허덕이며 시달려 왔다"고 고충을 털어놨다.

 

특히 "태전지구에서 제일 큰 고민이 교통문제이듯 고산지구의 제일 큰 문제도 역시 교통"이라면서 "믿음직한 도로 한 방이 없고 43번 국도 하나에 매달릴 수 밖에 없는데, 43번 국도는 이미 포화상태"라고 토로했다. 

 

여기에 추자지구, 강건너 양벌매산지구로 그림이 옮겨 그려지게 되면 이곳도 태전지구의 교통지옥을 고스란히 당할 수 밖에 없다. 광주는 산자락을 낀 공동주택 개발이 대부분이라 도로용량은 한계에 다다랐다.

 

신 시장은 "항상 공동주택 허가안이 올라오면 늘 긴장할 수밖에 없다"며, "23번 시도도 43번 국도도 이미 포화상태인데 23번 시도를 이용해야하는 초월, 쌍령도 그래서 그렇다"고 심각성을 전했다.  

 

"맛있어 보일 사과 한 톨 한 톨에 열중하다보면 줄기 그리기가 소홀해 질 수 있습니다. 그래서 광역교통망, 뚝방길하이웨이, 자전거길, 터널, 철도노선 확보 등에 더 집중할 수 밖에 없는게 우리 광주의 현실~.. 생각은 더 길어 질 수 밖에 없습니다."

 

프로필 사진
조용은 기자

뉴스라이트 대표 기자


관련기사

34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경기소식

더보기

검색어 NOW

더보기
추석연휴, 바다향기수목원에서 준비한 체험과 가을꽃의 향연
【뉴스라이트 = 조용은 기자】 주변 섬들의 이름과 지명을 알 수 있는 전경 안내판이 설치된 전망대에 올라서면 시원한 가을 바닷바람을 맞으며 서해안을 볼 수 있고, 다양한 가을꽃이 만개한 곳. 바로 경기도 안산 대부도 인근에 소재한 바다향기수목원이다. 추석연휴 기간을 맞아 자연의 싱그러운 녹음을 전해주고 있는 바다향기수목원에는 수목원 내 식재된 다양한 가을꽃과 함께 890개 국화 화분이 일제히 개화를 하고, 목화 1,200본과 붉게 단풍이 든 댑싸리 500개, 다양한 색상의 웨이브페츄니아와 로즈마리 1,100본이 가을의 색과 향기를 전하고 있다. 또한 ‘바다향기수목원 사용설명서’, ‘자연 속 숨은 보물찾기’, ‘속속들이 소나무’, ‘흙은 재미있는 우리 친구’ 등 다양한 숲 해설 프로그램이 가을철 수목원을 찾는 가족 단위 방문객들을 맞이하고 있다. 연중 토요일과 일요일에 신청을 받아 운영되고 있는 ‘향나무 목걸이 만들기’, ‘불어라 피리’ 등의 체험프로그램 또한 관람객을 위해 준비되고 있다. 더욱이 수목원 내 염생식물원에 있는 ‘바다향기전시관’을 지역사회와 예술가를 위한 기획전시실로 개방해 10월 3일부터 12일까지 기획전시 및 체험프로그램인 ‘바다향기 숲길 따

중년·신중년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