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2024 인천미술 올해의 작가_청년' 염지희 개인전 개최

3월 6일(목) 16시, 인천아트플랫폼 전시장 1(B)에서 개막식 진행

 

【뉴스라이트 = 이세현 기자】 인천문화재단 인천아트플랫폼은 '2024 인천미술 올해의 작가_청년' 선정자인 염지희 작가의 개인전《녹투라마: 발렌틴의 도끼》를 2025년 3월 6일 부터 2025년 5월 18일

 

까지 인천아트플랫폼 전시장 1(B)에서 개최한다.

 

2회째를 맞는 ‘2024 인천미술 올해의 작가’ 청년 부문에 선정된 염지희 작가는 콜라주를 주요 조형 언어로 사용하여 문학과 철학, 개인적 경험과 꿈에서 영감을 받은 주제를 바탕으로 작업을 이어왔다.

 

이번 전시에서 올해의 작가에 선정된 이후 인천아트플랫폼 스튜디오에 입주하여 창작한 60여 점의 신작들을 선보인다.

 

전시의 제목 ‘녹투라마’는 W. G. 제발트의 소설 『아우스터리츠』에서 착안했다.

 

소설의 도입부에서 화자는 녹투라마(야행성 동물원)를 관람하며 어둠 속 환영인지 실재인지 모를 동물들의 움직임을 몽환적으로 묘사한다.

 

이는 홀로코스트의 비극으로 망각된 한 인물의 생애를 추적해 가는 과정을 암시한다.

 

이어지는 제목 ‘발렌틴의 도끼’는 독일의 희극 배우 카를 발렌틴(1882~1948)이 공연 중 무대를 도끼로 부쉈던 퍼포먼스에서 가져왔다.

 

작가는 ‘녹투라마’를 사실과 허구가 공존하는 연극적 삶의 무대로 바라보며, 발렌틴이 그랬던 것처럼 콜라주 작품이 만들어내는 환영적 이미지를 통해 삶의 무대에 구멍을 낸다.

 

환영과 실존, 삶과 죽음의 경계를 탐구해 온 작품 세계를 아울러《녹투라마: 발렌틴의 도끼》를 이번 전시의 제목으로 삼았다.

 

전시장 1층에는 '녹투라마: 발렌틴의 도끼'를 테마로 창작한 신작 콜라주 회화 작품과 더불어 꿈의 이야기를 모티브로 재구성한 영상 작품 '몽상 속의 장식적인 은둔자'(2023)를 만나볼 수 있다.

 

특히 이곳에서 눈여겨볼 지점은 전시 공간의 구성이다. 작가는 전시장을 연극의 무대로 탈바꿈시켜 작품 속 등장하는 종교화의 패널, 아치형 구조물, 계단형 제단과 객석, 장막 등을 실제 오브제로 등장시킨다.

 

이는 관람객에게 작품 속 무대 안으로 들어온 듯한 깊은 몰입감을 선사하며 회화 작품을 입체적으로 바라볼 수 있게 만드는 장치로서 작동한다.

 

전시장 2층에는 작가의 작업실을 옮겨온 듯한 대형 아카이브 테이블이 설치된다.

 

작업의 레퍼런스가 되는 도서, 스케치, 설치 작업의 미니어처 등으로 입체적 아카이브가 구성되며, 이를 통해 콜라주의 과정과 작업의 테마가 만들어지는 방식을 유추해 볼 수 있다.

 

한편 전시와 연계한 체험 프로그램도 전시장 2층에 마련되어 있다.

 

작가가 선별한 이미지와 그동안 수집해 온 시구를 활용하여 콜라주 체험 키트를 제작했다.

 

관람객은 전시를 보고 난 후 나만의 콜라주 작품을 직접 만들어 보며 작가의 창작 과정과 작품 세계를 깊이 이해해 볼 수 있다.

 

전시 개막행사는 3월 6일, 오후 4시에 전시장 1(B)에서 진행 예정이며, 오는 4월 5일에는 이번 전시의 비평으로 참여한 이문정 미술비평가(리포에틱 대표)와 염지희 작가가 함께하는 ‘작가와의 대화’ 프로그램도 진행될 예정이다.

 

전시 관람료는 무료이며 화~일 오전 11시부터 오후 6시까지 관람이 가능하다.

 

휴관일은 매주 월요일이며, 단 어린이날 당일(5월 5일은 정상 운영하고 대체 휴관일은 5월 6일이다.

 

전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인천아트플랫폼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경기소식

더보기

검색어 NOW

더보기
6월엔 꼭 가볼만한 곳.. 고색창연한 천년고찰
【뉴스라이트 = 윤채이 기자】 천 년이라는 시간은 인간의 삶에 있어서 도무지 가늠하기 어려운 깊이다. 강산이 수없이 바뀌는 동안 사람들의 발자취를 간직한 채 꿋꿋이 제 자리를 지켜온 절집들이 있다. 우리는 그것을 ‘천년고찰(千年古刹)’이라 부른다. 천년고찰은 단순히 오래된 건축물이 아니다. 살아 있는 정신의 보고이며 자연과 인간, 신앙과 철학이 만나 이룬 조용한 우주다. 거센 풍파 속에서도 긴 세월을 묵묵히 버텨온 천년고찰. 기도와 사색, 침묵과 치유의 공간인 천년고찰에서 버거운 짐들을 잠시 내려놓는 것은 어떨까. 탁 트인 전망에 시름도 탁 풀리는 ‘남양주 수종사’ 운길산 중턱 해발 약 350m 지점에 자리하고 있는 수종사는 언덕길이 제법 가팔라서 차량 없이 올라가는 건 버거울 수 있다. 구불구불한 산길을 올라가면 일주문 앞에 주차장이 있고 수종사는 이곳에서도 10분 남짓 더 걸어야 한다. 일주문을 지나면 맞은편에 미륵불이 우뚝 솟아서 여행자를 맞이해 주는 느낌이다. 굽은 길을 마저 올라 불이문을 지나 돌계단을 오르면 비로소 수종사 경내에 다다른다. 경내에 들어서면 산을 오른 수고로움을 한 번에 보상받는 기분이 든다. 기와를 올린 낮은 담장 너머에 북한강 모

중년·신중년뉴스

사랑하는 반려동물과의 추천 여행지
【뉴스라이트 = 조용은 기자】 1,500만 반려인 시대. 한 집 건너 한 집이 반려동물을 키우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반려견은 더 이상 마당에서 집을 지키는 동물이 아니라 함께 살아가는 가족이 됐다. 이 작은 가족과의 여행은 특별한 추억을 만들어주고 경기도에는 반려동물과 함께할 수 있는 여행지가 많다. 자연 속 여유로운 공간에서 함께 걷고 함께 쉬는 것만으로도 행복한 시간이 될 것이다. 물론 준비는 필수! 야외 활동이 많은 만큼 진드기나 벼룩 예방약을 챙기고, 목줄과 배변 봉투도 빠뜨리지 말아야 한다. 작은 배려가 모두에게 더 즐거운 여행을 만들어 준다. 목줄 없이 놀아요! 안성 ‘안성맞춤랜드 같이파크’ 안성맞춤랜드는 복합문화예술 공간이다. 야외에는 잔디광장, 수변 공원, 분수 광장, 야생화 단지 등이 펼쳐져 있으며 실내에는 남사당공연장, 천문과학관, 공예문화센터까지 다채로운 시설을 갖추고 있다. 캠핑장과 사계절 썰매장도 있어 사계절 내내 즐길거리가 풍성하다. 여기에 최근 반려견과 함께 시간을 보낼 수 있는 ‘같이파크’까지 개장했다. 그야말로 펫 프렌들리 테마파크가 된 셈. 같이파크는 안성맞춤랜드의 정문 반대편으로 공원 가장 안쪽에 위치해있다. 동시에

포토갤러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