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라이트 = 조용은 기자】
진료 도중 환자가 휘두른 흉기에 목숨을 잃은 故 임세원(47) 강북삼성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가 마지막까지 의료진들의 안전을 살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안타까움을 더하고 있다.
경찰에 따르면 지난달 31일 오후 5시 40분께 박 모(30) 씨가 진료 도중 흉기를 꺼내 임 교수를 공격하기 시작했다.
박 씨를 피해 달아나던 임 교수는 복도에서 넘어지면서 박 씨가 휘두른 흉기에 찔려 목숨을 잃었다.
임 교수는 당시 박 씨가 위협을 가하자 복도로 몸을 피하면서 간호사들에게 "도망쳐", "112 신고해"라고 이야기했다.
또 도망치는 와중에도 멈춰 서서 간호사 쪽을 바라보며 제대로 대피했는지를 살피는 모습과 도망가다 넘어진 후 박 씨에게 몇 차례나 흉기로 가격을 당하는 모습이 CCTV에 고스란히 담겼다.
흉기에 찔린 임 교수는 중상을 입은 상태로 응급실로 옮겨져 치료를 받았으나, 오후 7시 30분께 끝내 숨졌다.
경찰은 검거한 박 씨가 범행 사실은 시인했지만, 범행 동기에 대해서는 횡설수설하고 있다고 전했다.
경찰은 피의자 소지품과 폐쇄회로(CC) TV 등 객관적 자료를 분석하고, 박 씨 주변 조사 등으로 정확한 범행 동기를 확인할 계획이며 정확한 사인을 규명하기 위해 부검도 진행한다.
박 씨는 조울증으로 불리는 양극성 장애를 앓아 입원치료 등을 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임 교수는 정신건강의학 분야 전문가로 우울증, 불안장애 환자 등에 대한 논문 100여 편을 국내외 학술지에 발표하고 관련 치료 프로그램 개발에도 힘쓴 인물이다.
그는 2011년 한국형 표준 자살 예방 교육 프로그램인 '보고 듣고 말하기(보듣말)'를 개발했고, 2016년에는 자신의 우울증 극복기인 책 '죽고 싶은 사람은 없다'를 출간하기도 했다.
이동우 대한신경정신의학회 정책연구소장은 2일 오후 한 라디오 인터뷰에서 “환자가 찾아온 시간은 외래 업무가 종료된 시간이었다. 더군다나 (12월의) 마지막 날이라 종료 시간에 찾아온 환자에게 ‘다음 기회에 오라’고 할 수 있을 텐데 아마 평소 임 교수 성품을 생각하면 거절하지 않고 진료를 보다가 그런 변을 당한 것 같다”고 말했다.
이 소장은 또 “마련된 피신 공간에서 머물렀다면 이런 결과가 안 빚어졌을 것”이라며 “그 순간에도 밖에 있는 간호사들을 염려해 간호사들 피신시키고 하는 과정에서 환자가 쫓아와 이런 결과가 나온 것 같다”고 말했다.
임세원 교수의 빈소는 2일 오후 서울 종로구 서울적십자병원 장례식장에 차려졌으며, 빈소에는 각계에서 보낸 조화와 조문 행렬이 이어졌다.
한편 청와대 국민청원에는 "조속히 임세원법을 제정해 달라"는 글이 올라오는가 하면, 의료계에서는 응급실 등에서의 폭행 사건을 방만한 결과가 사망 사건으로 이어졌다며, 근본적인 대책 마련을 촉구하고 나섰다.
대한병원협회는 2일 성명을 통해 "환자와 '치유의 여정'을 함께 했던 고인의 명복을 빌며 깊은 애도를 표한다"면서 "안전한 진료환경을 조성해달라"고 당부했다.
대한병원협회는 "현재 국회에 계류 중인 의료법 개정안이 의료기관 내 폭력에 대한 가중처벌 조항을 담고 있으나, 사후 조치에 불과해 여전히 미흡하다"면서 "같은 사태가 재발하지 않으려면 의료법 개정안의 조속한 국회 통과와 함께 안전한 진료환경 조성을 위한 사회적 관심, 정책 당국의 보다 구체적이고 근본적인 대책이 병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故 임세원 교수의 발인은 4일 오전 7시 30분에 진행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