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화성시 공영버스, ‘시민의 발’로 자리잡아

 

【뉴스라이트 = 조용은 기자】 화성시는 지난해 11월 첫 시작을 알린 버스공영제가 ‘시민의 발’로 자리 잡고 있다고 밝혔다.


화성시 공영버스는 그동안 수익성에 밀려 하루 3~4대만 운영하던 교통 취약지역에 화성도시공사를 통해 버스를 직접 운영함으로써 시민들의 이동복지를 실현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


화성시 공영버스는 수도권 최초의 완전공영제 시행을 발판 삼아 버스공영제 시행 전보다 이용객이 200% 이상 증가하는 성과를 보이는 등 ‘화성시민의 발’ 역할을 톡톡히 해내고 있다.


화성시 공영버스는 시민의 이동권 보장 및 대중교통 서비스 개선을 목표로 2019년 8월 시내버스 30대, 마을버스 15대를 운행하는 여객자동차운송사업자로 면허를 취득하고 기존 여객·운송업체가 반납한 23개 노선과 신설 노선 5개 등 총 28개의 노선의 운영에 힘을 쏟고 있다.


시는 먼저 향남~수원, 기산동~영천동(동탄2신도시) 2개 신설 노선을 시작으로 2020년 1월 28개 노선에 공영버스 45대의 운행을 시작함과 동시에 공영버스 기사 공개 모집을 통해 버스기사 모집을 완료하고 본격적인 운영에 돌입했다.


아울러 화성시 버스공영제는 버스 운전종사자들의 근무환경을 대폭 개선시켜 서비스 질 향상은 물론 교통사고 위험율도 낮췄다. 시는 보다 안전하고 양질의 공공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인사규정 및 공영버스 운영과 관련된 필수적인 규정도 함께 마련했다.


시는 공영버스 운수직 채용 시 1년간 기간제 근무자로 근무하도록 하고 안전운행과 근무실적에 대한 평가를 통해 결격사유가 발생하지 않는다면 무기계약직으로 전환하도록 했다.


특히 운전종사자들의 안전운행을 유도하기 위해 전일제가 아닌 1일 2교대 시행을 실시하는 등 과도한 근로 방지를 통해 안전한 공영버스 운행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하는 등 운전 종사자들의 근무조건 개선에도 힘을 쏟았다.


그 결과 화성시 공영버스는 난폭운전, 과속, 신호위반, 음주 등 시민의 위협이 될 수 있는 교통질서 위반행위가 급격히 줄어드는 성과를 거뒀다.


화성시는 이를 바탕으로 대중교통이 열악했던 소외지역을 중심으로 공영버스를 확대해나가고 있다.


시는 지난 1일 H1, H161번 2개 노선 개통을 시작으로 올 연말까지 자가용 같은 마을버스 2개 노선을 포함해 총 10개 노선 46대를 순차적으로 공영제 노선으로 전환 개통해 운행한다.


화성시가 올해 선보이는 버스공영제는 이용 수요가 많은 지역에 자가용 같은 마을버스 3개 노선과 서부권역에서 수원역을 연계하는 4개 노선을 민간 업체에서 반납 받아 공영버스로 전환 개통한다.


한편 화성시는 그린뉴딜 정책의 일환으로 전기버스 20대를 도입하고 오는 2025년까지 버스 335대 운행을 통해 버스 분담율 25% 달성이라는 목표를 통해 ‘시민의 발’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프로필 사진
조용은 기자

뉴스라이트 대표 기자



경기소식

더보기

검색어 NOW

더보기
어촌 안심 여행지, 경남 거제 다대마을
【뉴스라이트 = 윤채이 기자】 ■ 다대어촌체험휴양마을 거제도 남쪽 끝자락에서 만나는 조용하고 평화로운 어촌마을입니다. 바다와 함께하는 다양한 체험으로 일상에서 벗어나 특별한 시간을 보낼 수 있습니다. ■ 다대어촌체험휴양마을 추천여행코스 출발! → 거제의 바다학교 갯벌 체험 → 바다와 바람의 극장 바람의 언덕 → 바다 옆 오피스 워케이션 → 바다를 담은 작품 조개공예체험 → 어촌 속 힐링숙소 다대휴양마을 펜션. ① 갯벌 체험 넓고 깨끗한 갯벌에서 다양한 해양생물을 직접 만나볼 수 있습니다. 아이들과 함께 갯벌을 배우고 놀 수 있는 최고의 바다 놀이터입니다. 갯벌 속 보물 찾기처럼 짜릿한 시간이 기다립니다. ② 바람의 언덕 탁 트인 바다와 언덕 위 초원이 한눈에 펼쳐집니다. 풍차가 돌아가는 모습이 그림 같은 풍경을 완성합니다. 바다와 하늘, 바람이 만드는 힐링 무대입니다. ③ 워케이션 탁 트인 바다 전망 속에서 일과 휴식을 함께 즐길 수 있습니다. 바닷바람이 머리를 맑게 하고, 창밖 풍경이 영감을 줍니다. 새로운 형태의 휴가와 업무가 결합된 완벽한 공간입니다. ④ 조개공예체험 형형색색의 조개껍질로 나만의 기념품을 만들 수 있습니다. 작고 소중한 바다의 일부를 작

중년·신중년뉴스


포토갤러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