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인천시, 인적 안전망 강화·자긍심 고취로 복지사각지대 해소 속도

'위기가구 발굴 지원 조례'로 민·관 인적 안전망 적극 가동 … 복지 사각지대 최소화 총력

 

【뉴스라이트 = 이세현 기자】 인천광역시는 복지사각지대를 최소화하고 위기가구 발굴 활동을 제도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해 ‘인천시 위기가구 발굴 지원에 관한 조례’제정을 추진하고, 인적 안전망 강화와 자긍심 고취에 나선다고 밝혔다.

 

인천시 전체 가구 중 1인 가구 비율은 2019년 26.6%(29만 7천여 가구)에서 2024년 32.5%(41만 1천여 가구)로 계속 증가하고 있다. 또한 2024년 인천시 전체 노인인구 53만 3천여 명 중 약 28%(14만 9천명)가 독거노인이다.

 

이는 고립·외로움 등의 사회적 문제와 새로운 복지 사각지대가 우려되는 상황이다.

 

인천시와 군·구에서는 공공 발굴 체계의 한계를 보완하고, 복지사각지대 선제적 예방과 적극적인 위기가구 발굴 등 적극적인 대응을 위해 명예사회복지공무원, 지역사회보장협의체 등 인적 안전망과 민·관 협력체계를 운영하고 있다.

 

2018년부터 활동 중인 명예사회복지공무원은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위원, 이·통장, 주민단체 회원, 생활업종 종사자 등이 참여하는 무보수·명예직 네트워크다.

 

현재 인천시에 1만 2천여 명이 활동하고 있으며, 지난해에만 약 4만 건의 위기가구를 발굴해 공공 및 민간자원 연계하는 등 복지안전망의 최일선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또한 인천시는 복지서비스 대상자의 다양화와 복지 수요 증가에 따라 민·관 협력을 더욱 강화하고 명예사회복지공무원의 자긍심을 고취해 보다 적극적인 활동을 독려하고자 조례 제정에 나섰다.

 

이번 조례안은 입법예고를 마쳤으며, 연내 시의회에 상정해 심의를 마칠 계획으로, 민·관 협력 강화와 위기가구 발굴 활동에 대한 지원 등이 주요 내용이다.

 

아울러 활동실적이 우수한 개인과 기관·단체에 대한 포상과 인센티브 제공을 통해 명예사회복지공무원들의 자긍심을 높이고, 위기가구 발굴에 보다 적극적으로 나설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할 방침이다.

 

또한 현장에서의 역량 강화를 위해 기존 대면 교육 외에 온라인 교육과정을 신설하고, 활동 시 필요한 명예사회복지공무원증도 발급할 예정이다.

 

신병철 시 보건복지국장은 “사회구조 변화로 복지사각지대 유형이 다양해지는 만큼, 신속한 복지대상 발굴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며, “인천시는 현장에서 묵묵히 헌신해 온 명예사회복지공무원과 지역 인적 안전망의 자긍심을 높이고, 더 많은 시민이 제도적 혜택을 체감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경기소식

더보기


중년·신중년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