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라이트 = 조용은 기자】 경기도는 여름철 소나무재선충병 확산 방지를 위해 헬기, 드론, 지상 방제단 등 3중 예찰을 추진 중이라고 30일 밝혔다.
소나무재선충병은 소나무를 고사시키는 치명적인 시들음병으로 한 번 감염되면 회복할 수 없다. 재선충은 스스로 이동할 수 없으며, 죽은 나무에 서식하던 매개충이 새로운 소나무의 어린가지를 갉아먹는 과정에서 나무조직에 침입해 병을 확산시키는 방식으로 전파된다.
매개충이 본격적으로 활동을 시작하는 5~8월은 눈으로도 감염된 나무를 식별할 수 있어 예찰의 중요성이 가장 크다. 이에 따라 도는 예찰 방식을 다각화해 감염목을 조기에 발견할 방침이다.
예찰은 헬기를 동원해 넓은 산림지역의 확산 정도와 분포를 한눈에 파악하고, 드론으로 헬기 예찰 시 포착된 의심 지점을 고해상도 영상으로 정밀 확인한 후 예찰·방제단이 지상 예찰을 통해 감염목 위치를 정확히 파악하는 3단계로 진행된다.
이러한 예찰 결과는 가을철 피해목 정밀조사 대상지를 선정하고, 이듬해 방제 대상지의 범위와 방제방법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된다.
아울러 도는 소나무재선충병의 선제적 차단을 위해 이미 발생한 시군뿐 아니라 인접한 미발생 지역까지 항공촬영 범위를 확대해 병해충 확산 가능성을 조기에 차단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지난 29일 남양주시를 시작으로 도내 24개 시군에서 헬기와 드론을 활용한 항공 예찰을 순차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이태선 경기도 산림녹지과장은 “소나무재선충병 확산 방지를 위한 첫걸음은 선제적 예찰과 신속한 방제”라며 “특히 여름철 항공 예찰을 통해 감염목이 누락되지 않도록 정밀하게 조사하고,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방제계획 수립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