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인천서부교육지원청, ‘우리는 생각하는가, 생각 당하는가?’ 교원 대상 읽걷쓰 연계 미디어 리터러시 연수 실시

 

【뉴스라이트 = 이세현 기자】 인천서부교육지원청은 4일 관내 초‧중학교 교원 20여 명을 대상으로 ‘미디어 리터러시, 상식을 되묻다’ 연수를 실시했다.

 

이번 연수는 서부교육지원청이 추진하는 ‘읽걷쓰 교육’의 일환으로, 교사들이 학생들의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을 효과적으로 신장시킬 수 있도록 관점을 확장하고 교육적 접근 방식과 방법을 함께 모색하고자 마련됐다.

 

‘상식을 되묻다’라는 주제로 진행된 연수에서는 미디어 정보의 진위, 출처, 해석 관점 등을 비판적으로 성찰하며, 넘쳐나는 정보 속에서 자율적 사고의 중요성을 되새기는 시간을 가졌다.

 

스스로 생각한다고 믿지만 실제로는 방대한 정보에 압도되어 생각하는 힘을 잃거나 오히려 생각을 ‘당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는 점을 짚으며,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이 민주시민 교육의 핵심 요소임을 강조했다.

 

이번 강연은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유범상 교수가 맡아, 인문학적 시각에서 미디어 리터러시와 사회적 시민성의 관계를 흥미롭게 풀어냈다.

 

서부교육지원청 관계자는 “이번 연수로 교사들의 관점이 확장되고, 읽걷쓰 교육과도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며 “앞으로도 학생들의 건강한 정보 판단력과 시민성을 기를 수 있도록 다양한 연수를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경기소식

더보기

검색어 NOW

더보기

중년·신중년뉴스

평택시, 치매 환자 실종 예방사업 연중 실시
【뉴스라이트 = 박현서 기자】 평택시는 치매 환자의 실종을 예방하고 실종 시 신속하게 가정에 복귀할 수 있도록 실종 예방사업을 연중 실시하고 있다. 실종 예방사업으로 △배회가능 어르신 인식표 보급 △배회감지기(행복GPS) 제공 △지문 사전등록 서비스 △치매 체크 배회감지 서비스가 있으며 대상자의 자격 요건에 따라 지원이 가능하다. 인식표는 대상자에게 고유번호를 부여해 의류에 부착하는 표식으로, 실종 후 발견 시 경찰청에서 고유번호를 조회하면 실종자와 보호자의 정보를 빠르게 확인할 수 있다. 지문 사전등록 서비스는 치매 환자의 지문과 사진 및 보호자 연락처 등 신상 정보를 경찰청 시스템에 사전 등록하는 제도이다. 배회감지기(행복GPS)는 손목시계 형태로 치매 환자와 인지 저하자에게 무상 보급되며 보호자의 스마트폰과 연동해 대상자의 실시간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설정한 구역을 벗어나면 보호자에게 긴급 알람이 울리는 ‘안심존’ 기능을 갖추고 있다. 평택보건소 관계자는 “치매 환자와 가족의 불안을 덜고, 안전한 지역사회 조성을 위해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며 “실종 예방 서비스에 대한 치매 환자 및 가족의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를 당부 드린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