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역사저널 그날, 나는 조선인 가미카제다

나는 조선인 가미카제다

【뉴스라이트 = 윤채이 기자】 나는 조선인 가미카제다

제2차 세계대전 말, 패망의 끝자락에 몰린 일본은 전대미문의 작전을 감행한다. 사람이 탄 비행기 몸체로 적함을 들이받는 자살 특별공격대, ’가미카제‘였다. 한 번의 공격을 위해서 수많은 청춘들이 허망하게 죽어갔다. 그런데, 그중 우리가 주목해야 할 이들이 있다. 낯설고도 불편한 진실, ’조선인 가미카제‘다

사망률 100%, 작전 성공률 6% - ’바보 폭탄‘ 자살 공격기

당시 미군이 가미카제의 전투기를 보고 붙인 별명이 있다. 일명 ’바보 폭탄‘. 가미카제 전용 특별공격기는 오직 자살 공격만을 위해 설계된 단순무식한 비행기였다. 기체의 무게를 줄이기 위해 이·착륙 바퀴를 없앴고, 적함에 돌진하기 위한 급하강만이 유일한 기능이었다. 그렇다면 작전 성공률은 얼마나 되었을까? 고작 6%. 명백한 소모전이었다. 그러나 일본은 여기서 멈추지 않고 더 많은 가미카제를 양산해내기 시작하는데….

조선인, 가미카제에 자원하다?

광기의 시작은 ‘학교’에서부터였다. 일본은 가미카제 편성 이전부터, 식민지 조선의 소년들에게 항공열을 부추겼다. 활공과를 정식 과목으로 지정해 가르쳤고, 모형비행기 제작, 글라이더 훈련 등을 실시하며 ‘비행’에 대한 환상을 심어갔다. 하늘을 나는 꿈에 부푼 어린 소년들은 ‘소년비행병학교’에 들어가 단 16개월 만에 조종사가 되었고, 마침내 선택의 문턱에 이른다. 선택지는 2개였다. 가미카제에 “지원한다”, 그리고 “열렬히 지원한다”. 그렇게 조선의 소년들은 가미카제에 ‘자원’하게 된다.

‘조선인 가미카제’ 그들의 죽음은 자살인가, 타살인가.

“역사를 지키는 동포여, 각자가 특공대가 되어 이 역사를 영원히 지켜주세요.

(...) 야스쿠니에 부름 받은 몸, 안녕히...”

최연소 조선인 가미카제, 박동훈이 출격 전 만주 국책회사에서 녹음한 라디오 음성의 내용이다. 천황을 위해 목숨을 기꺼이 바치겠다 맹세하는 만 17세 소년의 앳된 목소리. 그 말은 과연 진심이었을까?

“일본이 가족들을 다 책임져주겠다고 해서 군에 왔는데...”

“동생들은 절대 군에 보내지 말라”

박동훈의 아버지와 여동생이 기억하는 그의 또 다른 목소리다. 출격이 결정된 날 밤, 군 침상에 머리를 파묻고 큰 소리로 울고 있었다는 동기의 증언까지. 그는 분명히 죽음을 두려워했다.

출격을 앞둔 대원들에게 강제로 웃고 있는 사진을 찍게 했던 일본이었다. ‘조선인 가미카제는 천황을 위해 기꺼이 목숨을 바쳤다.’ 그동안 묵인해왔던 이 명제의 참과 거짓을 그들의 진심을 통해 파헤쳐본다.

일본 가미카제 생존자의 참담한 증언 “인간의 생명을 휴지 조각 취급했습니다.”

일본 가미카제 생존자들과 미국 참전 군인의 생생한 증언이 담긴 영화, "가미카제 이야기"를 통해 일본 군국주의의 참상을 들여다본다. 태평양 전쟁의 당사자 미국과 일본, 양국이 기억하는 ‘가미카제’는 과연 무엇이었을까? 그 실체를 필름에 담아 세계에 알린 재미 일본인 감독 리사 모리모토. 미국 현지로 연결해 그녀의 이야기를 직접 들어본다.

전쟁이 가능한 나라를 꿈꾸는 아베, 반성하지 않는 일본. 희생된 가미카제는 현재 야스쿠니에 합사되어 있다. 죽어서도 전쟁의 선전 도구로 이용당한 조선인 가미카제. 그 자세한 이야기는 9월 1일 일요일 밤 9시 40분 KBS 1TV "역사저널 그날" '나는 조선인 가미카제다'에서 확인할 수 있다.


경기소식

더보기

검색어 NOW

더보기
송바오 송영관 사육사의 칼럼, "푸바오가 남긴 것"
[에버랜드 송영관 사육사 칼럼] 2020년은 우리 모두에게 참 어려운 시기였다. 코로나19가 발생한 후 모든 것이 멈춘 것 같았다. 사람들은 마스크 아래 각자의 표정과 감정을 가린 채 서로 거리를 둬야 했다. 일상 또한 제한되었고 지치고 힘든 시기였다. 그러나 조용해진 바깥 세상과는 다르게 손바닥만 한 스마트폰 속 세상은 다른 속도로 흘러갔다. 지친 일상에 힘이 되어주는 글과 영상도 있었지만, 그에 못지않게 자극적이고 불안한 소식들이 우리의 눈과 귀를 사로잡았다. 멈춘 듯 멈추지 않은 듯, 연결된 듯 단절된 듯, 끝이 보일 듯 말 듯…. 외로움으로 영혼을 잃어가고, 위기를 마주하고, 좌절했다. 불행한 시기였다. 그즈음이었던 7월, 우리 앞에 한 신비한 생명체가 나타났다. 바로 국내 최초 아기 판다 '푸바오'였다. 너무나도 사랑스럽고 신비한 이 생명체에 많은 이들의 이목이 쏠렸다. 푸바오와 판다의 삶은 마음 아픈 소식들을 보고 듣고 견뎌내느라 지쳐 있던 우리들의 마음을 달래주기에 충분한 듯했다. 엄마 판다 '아이바오'의 헌신적인 육아에서 무한한 사랑을, 사육사들의 진정성 있는 교감과 관계에서 진심을, 푸바오의 성장 과정을 응원하며 용기와 희망을, 그 안에서 매

중년·신중년뉴스


포토갤러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