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특별기획] 코로나 마스크, 야생동물의 '덫'이 되어 생명 위협.. 발에 고무줄 감긴 새들 속출

마스크를 버릴 때에는 "반드시 양쪽 귀걸이를 모두 잘라주세요" 당부

 

 

 

【뉴스라이트 = 박현서 기자】 코로나19가 전세계로 확산되면서 사람뿐 아니라 야생동물의 생명까지도 위협하고 있다.

 

얼마 전까지만 해도 함부로 버려진 플라스틱 재질의 빨대가 바다거북의 코를 관통한 사진이 공개되면서 일회용 빨대 사용을 자제하는 움직임이 세계적으로 일었는데, 이번엔 '마스크'다.

 

코로나19의 치료약 및 백신이 본격적으로 나오지 않은 상황에서 현재 코로나19 예방 효과가 가장 높은 것이 마스크라, 우리에게 없어서는 안될 소중한 물품이다. 

 

그러나 인간들이 쓰고 버린 수십억 개의 일회용 마스크 중 바람에 날려가거나 무심코 버려진 일회용 마스크들이 야생동물의 생명을 위협하고 있어, 보는 이들의 안타까움을 자아내고 있다. 

 

 

 


마스크 고무줄에 다리가 조여 발목이 퉁퉁 부어있는 갈매기, 날카로운 발톱에 마스크가 감겨 제대로 먹이사냥을 할 수 없게 된 송골매, 마스크를 먹이로 착각하고 입에 물고 나오는 물새 등 세계 곳곳에서 야생동물들이 생명의 위협을 받고 있는 사진이 SNS 등을 통해 널리 퍼지면서 경종을 울리고 있다.

 

사람에게는 한낱 일회용 마스크에 불과하지만, 마스크의 고무줄 귀걸이가 야생조류의 발에 감기게 되면 새들은 본능적으로 발버둥 친다. 그러면 더욱 세게 발목을 휘감는 치명적인 '올무'가 되고 만다.

 

 

 

 

동물보호가들은 "우리는 모든 종류의 쓰레기를 적절하게 처분해야 할 책임이 있다"면서 "올바른 방법으로 버렸다 하더라도 쓰레기 운반 과정에서 바람에 날려갈 수 있으니, 마스크를 버릴 때에는 반드시 귀걸이 고무줄을 양쪽 모두 가위로 제거한 후 바람에 날리지 않도록 잘 폐기해야 한다"고 호소하고 있다.

 


관련기사

7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경기소식

더보기

검색어 NOW

더보기
추석연휴, 바다향기수목원에서 준비한 체험과 가을꽃의 향연
【뉴스라이트 = 조용은 기자】 주변 섬들의 이름과 지명을 알 수 있는 전경 안내판이 설치된 전망대에 올라서면 시원한 가을 바닷바람을 맞으며 서해안을 볼 수 있고, 다양한 가을꽃이 만개한 곳. 바로 경기도 안산 대부도 인근에 소재한 바다향기수목원이다. 추석연휴 기간을 맞아 자연의 싱그러운 녹음을 전해주고 있는 바다향기수목원에는 수목원 내 식재된 다양한 가을꽃과 함께 890개 국화 화분이 일제히 개화를 하고, 목화 1,200본과 붉게 단풍이 든 댑싸리 500개, 다양한 색상의 웨이브페츄니아와 로즈마리 1,100본이 가을의 색과 향기를 전하고 있다. 또한 ‘바다향기수목원 사용설명서’, ‘자연 속 숨은 보물찾기’, ‘속속들이 소나무’, ‘흙은 재미있는 우리 친구’ 등 다양한 숲 해설 프로그램이 가을철 수목원을 찾는 가족 단위 방문객들을 맞이하고 있다. 연중 토요일과 일요일에 신청을 받아 운영되고 있는 ‘향나무 목걸이 만들기’, ‘불어라 피리’ 등의 체험프로그램 또한 관람객을 위해 준비되고 있다. 더욱이 수목원 내 염생식물원에 있는 ‘바다향기전시관’을 지역사회와 예술가를 위한 기획전시실로 개방해 10월 3일부터 12일까지 기획전시 및 체험프로그램인 ‘바다향기 숲길 따

중년·신중년뉴스